총 30건의 FAQ가 있어요.
심야전기보일러의 디지털 조절기의 경우 2일간의 사용량을 인식하여 평균값이 설정됩니다.
조절기의 초기화버튼을 눌러 설정값을 초기화시켜 사용하시면 됩니다.
(초기화버튼 사용법은 설명서를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전기보일러의 경우 온도조절기의 레버를 조작하여 마그네트가 몇도에서 작동하는지 확인 후
보일러 온도표시와 다를 경우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A/S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순환모터 부화용량(200W 미만) 확인 후 용량에 적합할 시에는 조절기 이상으로 서비스센터에 A/S요청을 한다.
- 메인 배전함(두꺼비집) 차단기가 올려져 있는지 확인한다.
- 차단기가 올려져 있다면 컨트롤함 속 누전차단기가 전부 올려져 있는지 확인한다.
- 누전차단기가 내려져 있을 시 스위치를 올려놓는다.
- 누전차단기가 올려져 있을 시에는 220V 코드선이 콘센트에 올바르게 꽂아져 있는지 확인한다.
- 위의 사항에 모두 이상이 없다면 서비스센터에 A/S요청을 한다.
1. 먼저 설치상태를 확인합니다.
1) 제품이 설치장소에 적합한 용량(주택 단열상태,난방평수)인지 먼저 확인합니다.
2) 표준배관도에 따라 올바른 배관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3) 노출된 배관의 보온상태는 이상이 없는지 확인합니다.(특히 팽창안전관)
4) 인입선과 차단기가 용량에 맞게 설치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2. 일반 상시전원(AC 220V)코드선을 콘센트에 꽃습니다.
1) 일반상시전원은 콘트롤러를 제어하므로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2) 겨울철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어야 동파방지 기능이 작동합니다.
3. 보일러 축열조와 난방배관에 물을 공급합니다.
1) 배관 내부와 보일러에 물을 채워줍니다.
2) 실내온도조절기를 난방상태로 하여 순환펌프를 가동합니다.
3) 배관내의 밸브를 전부 열어 배관내의 공기(에어)를 제거합니다.
4) 보일러 외부 및 배관 연결부위에 누수가 없는지를 확인합니다.
5) 급수밸브는 물을 공급한 후에도 반드시 열어 놓습니다.
4. 누전차단기와 전원스위치를 모두 켭니다.
1) 계량기함의 차단기를 겹니다.
2) 보일러 전면의 콘트롤박스를 열어 차단기를 모두 켭니다.
3) 실내온도조절기에서 전원 차단이 가능하므로 실내온도조절기에서
심야차단이 되지 않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전원 차단 상태이면 실내온도조절기에 차단이라고 표시되어,전원이
투입되어도 축열이 되지 않습니다.)
1. 차단기 인입선이 불량인 경우 접속을 좋게 한다.
2. 차단기 용량이 부족한 경우 차단기가 차단되기 때문에 차단기 용량을 알맞게 교체해야 한다.
3. 차단기가 불량일 경우 차단기 교체를 해야한다.
1. 내부 누전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내부전선을 검사해야합니다.
2. 히터 누전일 경우 히터를 교체해야합니다.
이 경우 내전압 측정과 누전상태 점검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3. 차단기 용량보다 히터용량이 큰 경우 용량에 맞는 히터로 교환해야 합 니다.
4. 각종 배선의 연결이 안된 경우 배선 연결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5. 차단기 자체 불량일 경우 차단기를 교체해야 합니다.
차단기 단락의 경우 히터 쪽 이상으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차단기 이상유무 확인 후 이상이 없을 시 A/S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차단기 이상 유무 확인법>
누전차단기가 내려 갈 시 먼저 메인전원을 차단한다.
전원 차단 후 차단기 하단부에 연결 된 선을 제거한다.
- 전원을 투입하여 차단기가 내려갈 시 차단기에 이상이 발생하였으므로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차단기를 교체한다.
- 전원 투입 시 차단기가 ON 상태로 올라가져 있을 경우 차단기는 정상으로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다른 이상 유무를 점검 받는다.
- 차단S/W ON위치에 놓는다.
- 마그네트 교체
- 차단기 교체
- 자동제어장치 교체
- Room S/W 교체
- 히터 교체
- 센서 및 배선 교체
1. 과열방지가 작동되었을 경우에는 AS받으셔야합니다.
2. 자동제어기가 불량일 경우 자동제어기를 교체하셔야 합니다.
누수 접수로 현장 방문 시 배관 쪽에서 물이 흘러 내리거나 안전변에서 물이 토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래의 사항을 점검 후에 서비스 요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방문 시 누수가 아닐 경우 A/S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온수기의 냉수와 온수 쪽 배관에 물이 흐르는지 확인한다.
- 안전변에 토출관이 설치되어 있는지와 안전변 주변으로 물이 토출 된 흔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위의 사항을 점검 후 해당하지 않는다면 서비스센터에 A/S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1. 난방제어기 전원이 꺼져있을 경우 난방제어기의 휴즈를 확인을 하셔야합니다.
2. 연결 배선의 접속불량일 경우 연결배선를 교환 하셔야 합니다.